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블루라이트 부작용 몸에 미치는 영향

by 아재 발명가 2024. 2. 2.

블루라이트 부작용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혹시 스마트폰 장시간 사용하고 계신가요? 디지털 기기의 스크린에서 블루라이트 빛이 나옵니다. 이 블루라이트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블루라이트 부작용 우리 인체에 미치는 영향

블루라이트는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 스펙트럼 중 일부입니다. 빛의 파장이 380~500nm 사이로 파장이 짧고 에너지는 높습니다. 파란색 빛을 내는 것이 특징이어서 블루라이트라고 부릅니다.

 

태양광 빛에도 블루라이트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햇빛에 자연스럽게 노출되는 양은 적습니다. 하지만 인공적으로 빛을 내는 디지털 기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많은 시간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블루라이트 부작용이 인체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 블루라이트가 눈에 미치는 영향

첫 번째로 스마트폰 같은 블루라이트에 오래 노출되면 눈에 피로감이 증가합니다. 특히 요즘에는 스마트폰에 중독되다시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튜브 쇼츠 영상, 인스타 같은 소셜 미디어의 짧은 영상을 보느라 잠을 잊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

 

안경사가 직접 만든 블루라이트차단안경 맞춤 근적외선차단 GL1988

COUPANG

www.coupang.com

 

 

▶ 블루라이트 망막세포 부작용 동물 실험

미국 톨레도대학에서는 2018년에 한 가지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쥐에게 여러 파장의 빛을 쪼였을 때 블루라이트를 쬔 쥐가 망막세포 기능을 상실한 것입니다. 해당 연구를 통해 블루라이트는 망막세포 위의 인지질을 변형시켜 빛의 전기 신호가 뇌로 전달되는 과정을 방해하고, 시력을 저하시키는 등의 악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이런 생활 습관으로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 빛이 눈에 장시간 노출되어 눈의 피로감을 증가시켜 안구 건조증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안구 건조증에 미치는 영향

실제 연구에서 밝혀진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디지털 스크린을 오래 쳐다볼수록 눈 깜빡임 횟수가 줄어들어 안구건조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고 합니다.

 

누구나 스마트폰 화면을 오래 쳐다보면 눈을 깜빡임이 거의 없다시피 뜬 눈으로 계속 자극적인 영상에 빠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블루라이트가 사람 망막에 미치는 부작용 실험

미국안과학회(AAO)에서는 동물 실험에서 망막 손상 결과에 대해 사람에게 적용할 수 있는 연구의 근거가 부족하다고 반박했습니다. 먼저 실험 대상이 쥐이기 때문에 사람에게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는 점과 일상생활에서는 블루라이트를 단일로 쬐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하루 종일 TV나 스마트폰, 컴퓨터 모니터 등을 바라보는데, 이 때문에 망막 질환이 발생한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기존에 망막 질환이 있거나, 망막이 손상되어 주의가 필요한 사람이 아니라면 굳이 블루라이트를 차단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안경사가 직접 만든 블루라이트차단안경 맞춤 근적외선차단 GL1988

COUPANG

www.coupang.com

 

 

2. 블루라이트 부작용 수면장애 미치는 영향

사실 블루라이트 부작용 중 가장 심각한 영향은 수면장애입니다. 많은 연구에서 디지털 화면에서 나오는 인공 블루라이트 빛에 오래 노출되면 불면증 위험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블루라이트 빛이 송과샘을 자극시켜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를 방해합니다. 멜라토닌은 우리가 잠을 자기 위해 밤에 분비되는 중요한 호르몬 중 하나입니다.

▶ 블루라이트 수면장애 실험 

하버드 연구진과 동료들은 6.5시간 동안 블루라이트에 노출된 효과와 비슷한 밝기의 녹색광에 노출된 효과를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블루라이트는 녹색광보다 약 2배 더 오랫동안 멜라토닌을 억제하고 일주기 리듬을 2배(3시간 대 1.5시간)만큼 이동시켰습니다.

 

불면증, 수면장애를 호소하는 대부분 사람들을 조사해 보면 멜라토닌 분비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저녁에 수면을 취하기 위해 우리 몸은 부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고, 멜라토닌을 분비하기 시작하는데 만약 블루라이트에 오래 노출되면 송과샘을 자극시키고 멜라토닌 분비를 방해합니다.

 

자야 할 시간에 뇌는 깨어있는 각성 상태가 되어 더 잠이 안 오게 되고 뜬 눈으로 아침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수면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취침에 들기 전 2시간 전에는 스마트폰 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블루라이트 차단  비교 실험 연구

블루라이트 수면장애에 대한 또 다른 연구에서, 토론토 대학의 연구자들은 블루라이트 차단 고글을 착용하고 밝은 실내조명에 노출된 사람들의 멜라토닌 수치를 고글을 착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희미한 빛에 노출된 사람들과 비교했습니다.

두 그룹의 호르몬 수치가 거의 동일했다는 사실은 블루라이트가 멜라토닌의 강력한 억제 인자라는 가설을 강화합니다. 또한 교대근무자와 올빼미족이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을 착용하면 자신을 보호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

 

안경사가 직접 만든 블루라이트차단안경 맞춤 근적외선차단 GL1988

COUPANG

www.coupang.com

 

 

 

 

 

댓글